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간염 예방 접종

by syjk250427 2025. 8. 13.

 

간염, 왜 예방접종이 중요한가?

간염은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바이러스성 간염(A형·B형·C형 등), 알코올성 간염, 독성 간염 등이 있습니다. 이 중 A형과 B형 간염은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예방접종은 간경화와 간암으로 진행될 위험을 크게 줄여줍니다.

A형 간염 예방접종

감염 경로: 주로 오염된 음식·물 섭취, 환자와의 접촉

접종 대상:

  • 만 12개월 이상 모든 소아
  • 성인 중 항체가 없는 사람 (특히 1970년대 이후 출생자)
  • 간 질환자, 면역저하자, 해외 여행 예정자

접종 방법: 6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주의사항: 발열·급성질환 시 접종 연기, 알레르기 이력 확인

B형 간염 예방접종

감염 경로: 혈액·체액 접촉, 출산 시 모자간 감염

접종 대상:

  • 모든 신생아 (출생 직후 24시간 이내 1차 접종)
  • 항체가 없는 성인
  • 의료 종사자, 혈액 노출 위험이 있는 직업군

접종 방법: 0-1-6개월 일정 (총 3회 접종)

특이사항: 접종 후 항체 검사로 면역 형성 여부 확인

C형 간염은 백신이 없어요

C형 간염은 아직 예방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혈액·체액 노출을 피하고, 일회용 주사기 사용이 중요합니다. 정기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입니다.

예방접종 전·후 주의사항

  • 접종 전 건강 상태(발열·감염 여부) 확인
  • 접종 후 20~30분 병원에서 경과 관찰
  • 접종 부위는 24시간 물리적 자극 피하기
  • 과거 알레르기 반응 이력은 반드시 의료진에 알리기

접종 일정 확인 방법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nip.kdca.go.kr)에서 본인과 자녀의 예방접종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요약: A형과 B형 간염은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접종 시기는 소아는 정해진 국가예방접종 일정에, 성인은 항체 여부 검사 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접종은 간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