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이란?
식중독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독소 등이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했을 때 발생하는 급성 위장관 질환입니다. 특히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세균 증식이 활발해 환자가 급증합니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매년 여름철(6~9월) 전체 식중독 환자의 60% 이상이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식중독 주요 원인균
- 살모넬라균: 달걀, 가금류, 육류
- 장염비브리오균: 해산물
- 대장균 (O157 등): 덜 익힌 고기, 오염된 물
- 노로바이러스: 겨울철에도 흔한 원인, 조개류·식수
- 황색포도상구균: 조리된 음식에서 증식
식중독 증상 (초기 → 진행 단계)
- 구토·메스꺼움: 섭취 후 수시간 내 발생
- 복통·경련: 장내 염증으로 인한 복부 불편감
- 설사: 물 같은 변 또는 혈변
- 발열: 체온 상승, 오한 동반
- 탈수 증상: 어지럼증, 입 마름, 소변량 감소
- 심한 경우: 신부전, 패혈증 등 합병증 가능
대부분은 1~3일 내 호전되지만, 어린이·노인·면역저하자는 증상이 심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식중독 발생 시 대처법
- 수분 보충: 미네랄·전해질 포함 음료 섭취
- 안정 취하기: 탈수 방지를 위해 휴식
- 자극적 음식 피하기: 기름진 음식, 유제품, 알코올 제한
- 병원 진료 필요: 혈변, 고열(38.5℃ 이상), 2일 이상 지속되는 설사
식중독 예방법 (2025 최신 가이드)
- 손 씻기: 조리 전·후 30초 이상 세정
- 익혀 먹기: 고기·해산물은 반드시 충분히 가열
- 칼·도마 구분: 육류·채소·해산물 전용 구분 사용
- 냉장 보관: 조리 후 2시간 이내 냉장, 5℃ 이하
- 상한 음식 피하기: 냄새·색이 이상한 음식은 섭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