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 및 응급 대처법
폭염이 불러오는 위험, 정확히 알고 대처해야 합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여름철 폭염이 극심해지면서 열사병과 일사병에 의한 건강 피해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두 증상은 모두 체온 조절 장애로 인해 발생하지만, 증상과 위험도는 확연히 다릅니다.
특히 야외 활동이 많은 분이나, 어린이·노약자·야외 노동자들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 자가진단 포인트, 그리고 응급처치 방법까지 상세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열사병 vs 일사병 – 무엇이 다를까?
구분 | 일사병 | 열사병 |
---|---|---|
정의 | 고온 환경에서 체온이 상승해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으로 발생 | 체온 조절 기능이 마비되어 체온이 40도 이상 상승한 중증 열 손상 |
주요 증상 | 어지럼증, 식은땀, 피로, 두통, 메스꺼움 | 의식 저하, 고열, 피부 건조/홍조, 혼수상태 가능 |
피부 상태 | 차갑고 축축한 땀 | 뜨겁고 건조하며 땀이 나지 않음 |
응급성 | 중등도 / 휴식 및 수분 섭취로 회복 가능 | 응급 / 즉시 병원 이송 필요 |
※ 일사병은 열탈진(heat exhaustion), 열사병은 열중증(heat stroke)으로 분류됩니다.
이렇게 자가진단 해보세요
- 어지럽고 식은땀이 난다? → 일사병 가능성
- 피부가 뜨겁고 땀이 없다? → 열사병 가능성
- 의식이 흐리거나 반응이 없다? → 열사병, 즉시 119 신고
- 속이 메스껍고 피로가 심하다? → 일사병 초기 증상
- 호흡이 빠르거나 숨이 가쁘다? → 열사병 진행 가능성 있음
열사병·일사병 응급처치 방법
1️⃣ 일사병 대처법
-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 (그늘, 실내 등)
-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찬물로 얼굴/팔/다리를 닦아 체온 낮추기
- 수분 보충: 이온음료, 생수 등 전해질 포함된 음료 권장
- 10~15분 내 호전되지 않으면 병원 방문
2️⃣ 열사병 대처법 (응급상황)
- 즉시 119에 신고 – 생명 위협 가능
-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기고, 옷을 벗긴 뒤 체온 하강 시도
- 얼음팩을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에 대기
- 의식이 없다면 억지로 물을 먹이지 말 것
- 반응/호흡 없을 시 심폐소생술(CPR) 시행 준비
예방이 최선입니다 – 여름철 열 질환 예방법
- 폭염 시간대(오전 11시~오후 4시) 야외활동 자제
- 외출 시 모자, 선글라스, 밝은 색 옷 착용
- 하루 1.5~2L 이상의 수분 섭취, 갈증 전에도 마시기
- 냉방기 사용 시 실내 온도 26~28도 유지
- 노약자·어린이는 더위에 특히 취약하므로 보호자 주의 필요
마무리 – 알고 있으면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열사병과 일사병은 겉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 위험성과 응급성은 전혀 다릅니다. 특히 열사병은 빠른 응급처치와 병원 이송이 생명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올바른 정보를 알고 대비하는 것이 가장 강력한 예방법입니다. 여름철에는 ‘괜찮겠지’라는 생각보다, 조금이라도 이상 징후가 느껴진다면 적극적으로 대처하시길 바랍니다.